● 항만기술산업 육성법! ‘국회 통과’
항만 종사자의 숙원 사업인 국내 항만기술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도적 근거가 마련됐다는 소식이다. ‘항만기술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하 항만기술산업 육성법)’이 지난 12월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이다.
이번에 통과된 ‘항만기술산업 육성법’에는 향후 국내 대규모 항만 개발 시기에 알맞게 국내 장비와 기술을 현장에 적극 수용하는 정부 주도의 항만기술산업 육성 정책 수립 근거와 관련 산업계를 위한 각종 지원 사항을 담았다. 또한, 전문기관 지정 등 산업기반 조성과 우리 기업의 기술개발 촉진, 연구개발 지원과 전문인력 양성 내용도 포함돼 있다.
항만기술산업은 하역크레인 등 장비 및 시스템의 제작·개발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총괄하는 전후방 연관산업으로 항만장비의 자동화, 지능화 추세에 따라 시장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항만의 경우 상당 부문이 외국산 장비와 기술에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인 공급망 생태계 측면에서 국내 산업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주요 항만에서 사용하는 하역 장비는 대부분 해외장비다. 자동화 항만 관련 장비·소프트웨어 기술 격차가 선진기술과 비교해 3년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국내 항만자동화장비 시장은 연평균 6.4% 성장해 2027년 기준 5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국내 항만의 국산 점유율은 2017~2021년 평균 6.7%, 국산장비의 부품 국산화율은 29.3%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항만기술산업 육성법 제정으로 국내 항만기술산업에 대한 집중 육성이 가능해져 핵심 장비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아울러, 전후방 연관산업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중장비·해운산업 등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지난 20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내놓은 동향분석자료를 보면, 현재 국내에 등록된 항만연관산업 사업체 수는 5300개 사에 달한다. 이들의 전체 매출액 규모는 2021년 기준 약 53조 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국내 해운업 전체 매출액인 52조 원에 필적하는 규모다. 하지만 아직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항만의 서비스 품질이 각 항만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떠오르면서 항만연관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고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항만연관산업은 선용품 공급 선박연료 공급 선박 수리 컨테이너 수리 검수·검량 등 항만의 하역과 선박 운항에 필수적 서비스이지만 그동안 덜 주목받아 왔다. 현재 항만연관산업 사업체들은 대부분 영세한 규모와 낮은 수익구조 등 만성적인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산업구조로는 세계 해운·항만을 둘러싼 스마트·친환경화에 대응한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 등 고부가가치 창출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 항만기술도 ‘친환경이 대세’
최근 국제해사기구는 탈탄소·디지털화에 따른 친환경선박·자율운항선박 등 미래산업과 관련한 새로운 국제기준 제정에 대해 활발히 논의하는 것과 동시에, 그 기준 제정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 배기가스에 대한 오염 물질 배출 규제를 도입, 지난 2020년부터 모든 선박의 배기가스 황산화물 함량 상한선을 3.5%에서 0.5%로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2020년 1월 1일부터 전 세계를 항해하는 모든 선박에 대해 황 함량 0.5% 이하인 연료 사용을 의무화하며 황산화물(SOx) 배출 규제를 강화한 것이다.
아울러 현재 운항 중인 모든 선박은 1999년부터 2009년 사이 건조된 선박의 평균 탄소 배출량보다 20% 이상 감축해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 개선이 요구된다. 이같은 추세에 따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Clarksons)은 2020~2030년을 LNG 추진선 도입기, 2030~2040년을 무탄소 선박 도입 기, 2040~2050년을 무탄소 선박 확장기로 지정해 향후 친환경 선박 개발과 발주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2월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 선박 투자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정책, 금융 등 다각적인 지원을 도모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12월 14~15일 양일간 부산 해운대 센트럴호텔에서 ‘제18차 국제해사협의회’를 개최했다. ‘국제해사협의회’는 정부, 유관기관, 학계 및 산업계 등의 국내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제해사기구(IMO)가 주요 의제로 삼고 있는 해사안전 및 환경분야 주요 현안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역량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이번 국제해사협의회에서는 온실가스 중기조치 등 국제 해사분야 주요 현안에 대한 대응방안과 자율운항선박 관련 국제 대응 전략 및 국내개발 현황이 함께 논의되었다.
또한 제11회 부산국제항만 컨퍼런스(BIPC)가 11월 28일과 29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대전환의 시대, 우리가 나아갈 길’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글로벌 해운시황, △해운항만의 탈탄소화, △한국 해운항만의 현주소, △항만 개발·운영, △최첨단 항만기술까지 다양한 주제들이 두루 논의되었다. 또한 이날 컨퍼런스에는 ‘글로벌 해운시황, 제조에서 물류까지’에서는 글로벌 해운 시황이라는 주제를 놓고 시장경제, 컨테이너 해운, 항만의 3개 분야별 분석 자료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특히 해운항만의 선택 아닌 필수, 탈탄소화'를 주제로 ▽녹색해운항로 대체연료 확산을 위한 협력방안 ▽유럽의 탈탄소 규제 현황 ▽친환경 미래기술 개발 현황 등에 관한 발표가 이어졌다. 이와 함께 항만개발·운영'을 주제로 항만분야 건설정보모델링 기술과 글로벌 항만 생산성 동향 및 항만 연관산업 고도화 방안 등도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선진국! ‘스마트 항만 구축에 박차’
올 9월 29일 싱가포르 항구는 2023년 ‘아시아 화물·물류·공급망 어워드’(AFLAS)에서 3년 연속 세계 최고의 항구에 선정됐으며, 35번째 아시아 최고의 항구에 선정됐다. 이러한 영예는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주축국으로서 싱가포르 항구의 공헌과 해상 탈탄소화 및 전환을 촉진하는 데 있어 싱가포르의 개선 노력에 대한 리더십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싱가포르, 로테르담 등 선진항만 사례를 살펴보면, 항만연관산업에 호의적인 정책·제도적 환경 조성, 시설의 규모화 및 현대화, 첨단기술을 적용한 생산성·안전성 개선의 특징을 보인다. 또 정부가 주도적으로 고도화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항만연관산업의 고도화 방안은 업종별로 다양할 수 있다. 전국적인 항만연관산업 실태조사를 통한 통계기반 구축과 항만연관산업의 고도화 방안 수립을 통해 항만의 서비스 경쟁력 제고와 부가가치 증대뿐만 아니라, 국가 및 항만도시의 지역경제 성장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이미 해외 주요 항만들은 스마트 항만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10위 안에 드는 항만 중 6곳은 전 영역 자동화 항만을 구축했거나, 구축 중이다.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항은 최근 전 영역 자동화 항만을 구축했으며, 미국의 롱비치 컨테이너터미널과 중국의 상하이항 등도 전 영역 자동화 항만을 구축해 운영 중이다.
수출입 의존이 높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수출입 물동량의 99% 이상을 처리하는 항만은 국가의 핵심 기반시설이다. 앞으로도 안정적인 물동량 처리를 위해 항만시설을 적기 구축하여 국가경쟁력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경제 활성화의 중추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을 토대로 항만·물류 디지털화, 지능화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물동량 처리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스마트 자동화 항만 도입을 국산 기술을 바탕으로 조기 구현해 나가길 바란다.
원본 기사 보기:
투데이리뷰 #http://todayreview.co.kr